현타라는 말은 이제 거의 생활용어처럼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말이 되었는데요. 실생활에서 쓰이는 것은 물론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심심치않게 등장합니다. 현타의 유래를 생각해보면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모습이 신기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현타의 진짜 뜻을 모르는 사람이 많은 것이겠죠. 그렇다면 우리가 이렇게 자주 사용하는 현타 뜻은 과연 무엇일까요? 또 현타 뜻이 어디에서 왔는지 유래도 살펴보겠습니다.
1. 사전에 나오는 현타 뜻
현타 뜻은 인터넷 국어사전에 나와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말입니다. 우리말샘 사전에 나오는 현타 뜻을 살펴볼게요.
현타(現time): 현실 자각 타임을 줄여 이르는 말로, 헛된 꿈이나 망상 따위에 빠져 있다가 자기가 처한 실제 상황을 깨닫게 되는 시간
현타는 자신이 처한 현실을 자각해서 갑자기 충격을 받아 멍해지는 느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 있다가 지금 자신의 현실을 깨닫게 되면서 자신이 지금까지 해왔던 행동이 후회스럽고, 그때 몰려오는 공허감과 비슷합니다. 상대적 박탈감과 비슷한 느낌일 수도 있습니다.
2. 현타 뜻의 유래
현타는 상당히 오래 전에 인터넷 용어로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현자타임이라는 말에서 온 것인데요. 이 현자타임이라는 말은 주로 남성들이 자기 위로 타임을 가진 후, 정신이 퍼뜩 들면서 현자 같은 상태가 온다고 붙여진 용어였습니다. 욕구가 채워진 후에 급격하게 밀려오는 허탈함과 무기력함을 표현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그냥 현자타임이라고 표현했고, 그것을 현타라고 줄여쓰면서 현타라는 말이 시작되었어요. 그러다 조금씩 널리 퍼지면서 여기저기에서 현타라는 말을 쓰게 된 것이지요. 하지만 너무 많은 사람이 쓰다 보니 본래의 뜻을 그대로 가져올 수가 없어서 현실 자각 타임이라는 뜻으로 순화시킨 것입니다.
3. 현타 예시
그렇다면 현타를 어떤 상황에서 쓰는지 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이어트로 뺀 것보다 요요로 더 쪄서 현타 왔어
예쁘고 잘난 애들 사이에 껴 있으니까 현타 제대로 오더라
계속 일하느라 쉬는 날이 없으니 언제까지 이래야 하는지 현타가 확 오네
나는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되는데 잠깐 공부하고 시험 붙는 사람 보니까 현타가 세게 와
현타는 대충 이런 식으로 쓰입니다. 자신이 처한 현실이 절실히 느껴질 때 딱 맞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어요.
신조어나 줄임말들은 한때 잠깐 쓰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은데, 현타는 말 자체가 쉽기도 하고, 대체할 말이 없어서 계속 쓰이는 것 같아요. 본래의 뜻이 어떻든지 말이지요.
이상으로 현타 뜻에 관해 살펴봤습니다.
혹시 인생에서 현타가 오는 순간이 있더라도 항상 힘내시기를 바라며 마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